September 2020

GINEI AS A CONTEMPLATIVE PRACTICE

Visiting the Myriad of Souls of Lost Small Lives from the Ito-Campus "Development" of Kyushu University

Fukuoka, Japan

Performance and text by: Teruhiko Honda
Video: Ginei(吟詠) as A Contemplative Practice: Visiting the Myriad of Souls of Lost Small Lives from the Ito-Campus “Development” of Kyushu University, 2020 (dur. 02m57s)
観照的実践としての吟詠
――伊都キャンパス“開発”で失われた無数の小さき生命の魂を尋ねて
――
Ginei(吟詠) as A Contemplative Practice:
Visiting the Myriad of Souls of Lost Small Lives from the Ito-Campus “Development” of Kyushu University
관조적 실천으로서의 긴에이 (吟詠)
-이토캠퍼스의 개발에 따라 사라져 간 모든 생명체의 혼을 찾으며
このパフォーマンス・プロジェクトは、Devora Neumark先生と本田陽彦の共同プロジェクトであり、日本の伝統芸能である吟剣詩舞道の「吟詠」によって「地球環境の危機」に直面して生じる深い悲しみの癒しと、母なる地球とそこに住する失われた生命を含んだ一切の生きとし生けるものの安穏の成就を願うものです。 This performance is a co-project initiated by Dr. Devora Neumark and Teruhiko Honda. It aims to heal the deep grief which arises when we face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by “Ginei(吟詠)". Ginei is a part of “Ginkenshibu”, the traditional Japanese performing art. We wish for the peace and equanimity of all beings, including Mother Earth and lost lives. 본 퍼포먼스는 Devora Neumark 선생님과 혼다 테루히코(本田 陽彦)의 공동 프로젝트로서 일본의 전통예능인 ‘긴켄시부’의 ‘긴에이’를 통하여 ‘지구환경위기’에 직면하여 생겨난 깊은 슬픔에 대한 치유 및 어머니인 지구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를 포함한 제반 생명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의미의 퍼포먼스입니다.
吟剣詩舞道とは、吟詠、剣舞、詩舞からなる日本の芸道の総称です。詩歌を独特のメロディにのせて朗詠する「吟詠」、吟詠に合わせて刀や扇を用いて舞う「剣舞」、そして扇を用いて舞う「詩舞」は、それぞれの仕方で日本の「道」の心を体現します。 Ginkenshibu-do(吟剣詩舞道) is a collective term for Japanese traditional art that consists of Gin-ei(吟詠), Ken-bu(剣舞), and Shi-bu(詩舞). "Gin-ei" reciting poem with a unique melody, "Ken-bu" dancing to Ginei recitation using a sword and folding fan, and "Shi-bu" dancing using folding fan. They express and represent the "Do(道)", the heart spirit of Japan in different ways. 긴켄시부도(吟剣詩舞道)란, 긴에이(吟詠), 켄부(剣舞), 시부(詩舞)로 이루어진 일본 전통예술의 총칭입니다. 시가를 독특한 멜로디에 맞추어 낭송하는 긴에이, 긴에이에 맞추어 칼 또는 부채를 이용하여 춤을 추는 켄부, 부채를 이용하여 춤을 추는 시부는 여러 가지 수단으로 ‘일본의 도(道)’를 표현해냅니다.
演者である私(本田陽彦)は20年間修習を続ける吟詠家であり、瞑想者であり、これまでマインドフルネスなどの観照的実践(contemplative practices)に関する研究を中心に行ってきた研究者です。本プロジェクトは、諸縁における私の芸道と学術研究が交差する地点にあたり、観照的芸術(contemplative art)としての吟剣詩舞道の可能性の探究における1つの節目といってよいであろうと思われます。 As a performer, I (Teruhiko Honda) have practiced Ginei for 20 years and am a meditation practitioner. Additionally, I have been researching contemplative practices, including mindfulness. This project is at the crossing point where my traditional Japanese art practice and academic research meet; it can be said to be a milestone in the inquiry for the possibility of Ginkenshibu as a contemplative art. 공연자인 저 혼다 테루히코는 긴에이를 20년간 계속해 온 긴에이 예술가이자 명상 수련자로서, Mindfuless (명상) 등의 관조적 실천(contemplative practices)의 한 가운데에서 쭉 수행해 온 연구자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여러 면에서 저의 학술연구와 예도(藝道)가 교차하는 지점을 맞이하여, 관조적 실천으로서의 긴켄시부도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라고 하여도 무방하리라고 생각합니다.
この一連のパフォーマンスでは、九州大学伊都キャンパス建設のための“開発”の結果失われることになった無数の小さな生命に対する私の悲しみ、彼ら自身の悲しみ、そして母なる地球の悲しみに癒しがもたらされることが願われています。 This series of performances were done with our devout hope for healing the grief, which is for the myriad of small lives that have been lost because of the "development" for the huge construction of Kyushu University's Ito Campus: my grief, their grief, and Mother Earth's grief. 이 일련의 프로젝트가 이토캠퍼스의 건설과 개발로 인한 여러 생명체의 상실에 대한 저의 슬픔과 그들 생명체들의 슬픔, 어머니 지구의 슬픔에 대한 치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九州大学では2005年から2018年にかけて、日本一のキャンパス敷地面積を有する伊都キャンパスの建設が行われました。この“開発”によって研究環境の充実がもたらされる一方、自然環境に大きな影響を与えることになりました。大規模な建設のために野山は“整理”され、そこに住する諸々の生命はその命と住処を失うことになったのです。 From 2005 to 2018, Kyushu University constructed Ito Campus, which has the largest campus area in all of Japan. While this "development" has enriched the research environment, it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the large-scale construction, natural wilderness become to be "sophisticated" and small insects and animals living there lost their homes and their lives. 큐슈대학에서는 2005년부터 2018년에 걸쳐 일본 최대의 캠퍼스 부지면적을 가진 이 이토캠퍼스의 건설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개발”에 따라 연구환경의 내실화가 이루어지는 한편, 자연환경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대규모 건설로 인하여 야생의 산은 “정리”되고 그곳에 살고 있던 모든 생명체들은 살 곳을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アスファルトで固められた新たな“大地”は、夏になるとその温度が高まり、表面には無数のダンゴムシやミミズの死骸を湧出させます。私は駐車場からキャンパスへ「歩く瞑想」をしながら向かうのですが、その道すがら彼らの亡骸に出会うたびに、深い悲しみと罪悪感が生じ心のなかにながく留まり続けます。その光景は、ちょうど大地が私に大いなる悲しみを伝えているように感じられました。この大地から私に届けられたメッセージは、私の心の深い水位までしみ込んでゆき、「人間による自然の植民地化」とでもいうべき事柄について考えさせるようになりました。 The new "ground" – with its rugged asphalt surface – rises in temperature during the summer, and an uncountable number of dead pill bugs and earthworms "gush out" from the ground. I always practice "walking meditation" from the parking lot to the campus; now I encounter their corpses along the way. I feel deep grief and guilt, and they keep staying in my heart. Seeing the scene of myriad small insect deaths, I felt as if the earth was sharing with me a deep grief. The message delivered to me from the earth permeated into my heart deeply and lead me to think about something considered as "human colonization of nature." 큐슈대학에서는 2005년부터 2018년에 걸쳐 일본 최대의 캠퍼스 부지면적을 가진 이 이토캠퍼스의 건설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개발”에 따라 연구환경의 내실화가 이루어지는 한편, 자연환경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대규모 건설로 인하여 야생의 산은 “정리”되고 그곳에 살고 있던 모든 생명체들은 살 곳을 잃어버리게 되었습니다. 아스팔트로 다져진 새로운 “대지”는 여름이 되면 표면 온도가 높아져서 그 표면에 무수히 많은 공벌레와 지렁이의 사체가 즐비하게 늘어져 있곤 합니다. 저는 주차장에서 이토캠퍼스로 “걸어가며 명상”을 하곤 하는데, 가는 길에 그 주검을 만날 때마다 깊은 슬픔과 죄책감이 마음 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었습니다. 그 광경은 마치 대지가 큰 슬픔을 나에게 전하는 듯 느껴졌습니다. 대지로부터 나에게 전달된 이 메시지는 내 마음 속 깊이 스며들어 온 소위 “인간에 의한 대지의 식민지화”에 관하여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듭니다.
こうして大学の“開発”が引き起こす無数の小さな生命の死についての出来事は、私の心の中にシコリのように留まり続けました。私は研究に疲れると、しばしば静かな場所を見つけて瞑想をします。すると、時折――おそらく、ある位相に私の心がリンクした時――大地から失われた生命へ向けられた深い悲しみのようなものをキャンパスの下から感じるのです。私はこのような感覚をただ抱えたまま、どうすることもできずに日常を送っていましたが、Devora Neumark先生との邂逅によって解かれてゆくことになったのです。 The events surrounding the countless deaths of small living thing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our university had left me with a complex set of feelings that were waiting to be healed someday in my heart. But I didn’t know when that day would come. When I feel tired from my research, I find a quiet place and meditate. From time to time – perhaps when my heart would be connected to a certain channel or something – I feel something like deep sorrow for lost lives from the earth, under the campus. I had held this feeling and continued to live my daily life. I didn’t know how to deal with or treat it, but the door to possibility for healing this emotion appeared in front of me when I met Dr. Devora Neumark. 이렇듯 대학의 "개발"이 초래한 무수한 작은 생명들의 죽음은, 나의 마음속에서 치유가 될 날만을 기다리는 복잡한 감정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 날이 언제 올지 모릅니다. 저는 연구에 지칠 때면 심심치 않게 조용한 장소를 찾아 명상을 합니다. 그럴 때면, 가끔 – 아마도 어떤 위상에 내 정신이 연결될 때- 대지에서 잃어버린 생명에 대한 깊은 슬픔과 같은 무언가를 느끼는 것입니다. 나는 다만 이러한 감각을 안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일상을 보내고 있었습니다만, Devora Neumark 선생님과의 해후에 의하여 이러한 감정을 치유할 가능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Devora先生は、気候の公平性(climate justice)、観照的実践(contemplative practice)とパフォーマティヴ・ジェスチャーに関して、デジタル・アートの可能性を探究する研究者であり芸術家です。彼女との出会いは、2019年8月にアメリカのスミス大学で開催されたThe Center for Contemplative Mind in Society(CMind)主催のサマーセッションでした。現在、九州大学で観照的教育学(contemplative pedagogy)とよばれる教育学に関する研究をしている私は、研究の一環でこのセッションに参加したのです。 Dr. Neumark is a researcher and artist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t the nexus of virtual platforms, climate justice, contemplative practice, and performative gestures. I met her at a summer session hosted by The Center for Contemplative Mind in Society (CMind) at Smith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in August 2019. At the time I was researching a type of pedagogy called "contemplative pedagogy" at Kyushu University, and I participated in this summer session to deepen my research. Devora 선생님은 기후의 공정성(Climate justice), 관조적 실천(Contemplative practice), Performative gesture에 관하여 디지털 아트의 가능성을 연구하는 연구자이자 예술가이십니다. 그 분을 처음 만나 뵙게 된 것은 2019년 8월 미국의 스미스대학에서 개최되었던 The Center for Contemplative Mind in Society(CMind)주최의 서머세션에서였습니다. 저는 큐슈대학에서 ‘관조적 교육학’으로 불리우는 교육학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일환으로서 그 세션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観照的教育学は、近年注目が高まっているマインドフルネスや慈悲(コンパッション)などの観照的実践(contemplative practice)を授業に適用し、学生の学びにおける気づき(awareness)を育てることを通してホリスティックな人間生成を教育理念としています。同教育学のメインストリームを牽引するのがCMindであり、毎年開催されるサマーセッションでは様々な専門分野で観照的な教育を追究する研究者が集まり、一週間にわたってそれぞれの智慧を共有し合います。 Contemplative pedagogy is applying contemplative practices like mindfulness and compassion, which have recently been getting more interest, into the classroom. This education movement aims to foster student's awareness by contemplative practices in their learning experience and help to cultivate their holistic becoming a human. CMind has led the mainstreaming of this pedagogy, and various researchers participate in the annual summer session and share their experiences, wisdom, and questions for a one-week period. 관조적 교육학은, 최근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명상(Mindfulness)나 공감(compassion) 등의 관조적 실천(contemplative practice)을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이 배우는 대상에 대한 깨달음(awareness)을 기름으로써 정신적인 인간을 생성하는 것을 교육이념으로 삼고 있습니다. 동 교육학의 주류를 견인하는 것이 CMind이며 매년 개최되는 서머세션에서는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관조적 교육을 추구하는 연구자가 모여 일주일에 걸쳐 이런저런 경험과 지혜를 서로 공유하도록 합니다.
Devora先生のワークショップ(“Cultivating Environmental Emergency Responsiveness: Mindfulness and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rt”)では、地球環境の危機についての気づきと、その現象に直面した時に生じる深い悲しみを癒しながら関与してゆくことについて、アートの観点から議論しました。参加者たちは、それぞれ出会った地球環境の危機と悲しみの経験をシェアし、それに関するアート・パフォーマンスについて議論しました。シェアリングの内容は水に関することや動物に関することなど様々でしたが、彼らはマインドフルに誠実さをもって他のすべての参加者の経験に耳を傾け、彼らの内側から彼らの経験を理解しようとしていました。そのような彼らのオープンさと誠実さ、そして慈しみに満ちた共感に励まされながら、私は先のキャンパス開発の結果としてもたらされた、無数の小さな生命の死のエピソードについて話しました。シェアリングの間に友人たちが流す涙は、私の経験とそれに伴う心のシコリついて回避せずに正面から向きあうことを後押ししてくれました。 During Dr. Devora's workshop, “Cultivating Environmental Emergency Responsiveness: Mindfulness and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rt,” participants discussed the awareness of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as well as the healing for, and engaging in, the deep grief arising when we are faced with the phenomenon, from a contemplative art perspective. Participants shared their own experiences of environmental crisis and grief, and generated ideas for performance art gestures or events. The sharing had various contents about water, animals etc.; we listened to everyone’s experiences mindfully with integrity, and tried to understand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 from their perspective. Thanks to their openness, truthfulness, and compassionate curiosity, I was encouraged to share my environmental grief for the death of myriad small insects because of the campus "development." The tears running down my new-found friends’ cheek during my sharing encouraged and help me to face and accept my grief experience, instead of continuing to avoid it. Devora 선생님의 워크숍(“Cultivating Environmental Emergency Responsiveness: Mindfulness and the Practice of Performance Art”, “환경적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을 일구기: 행위 예술의 연습과 명상”)에서는 지구환경의 위기에 대한 깨달음, 그런 현상에 직면했을 때 생겨나는 깊은 슬픔을 달래며 관여해 나가는 것에 대해서 예술의 관점에서 의논했습니다. 서로 공유한 내용은 물이나 동물에 관한 것 등 다양했습니다만 참가자들은 주의깊게 다른 모든 참가자의 경험에 귀를 기울여 그들의 내면을 통해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그들의 개방성과 신뢰성, 그리고 자애로운 공감에 힘입어 저는 앞서의 캠퍼스 개발의 결과로 일어난 무수한 작은 생명들의 죽음에 대한 에피소드를 이야기했습니다. 이야기를 듣고 친구들이 흘리는 눈물은 제가 그 경험에 따른 마음의 응어리를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맞설 수 있도록 지지해 주었습니다.
とてもマインドフルで穏やかな、しかし刺激的な日々を過ごした後、サマーセッションの最終日のOpen Micで私は和歌を吟じました。もちろん日本語ですから言葉の意味は伝わりません。しかし、観照的教育学の研究者たちは非言語的に、私の吟詠への“直接的”な経験を通して吟詠を“観照”してくれたのです。それは言語に還元できない、思考によらない“全く異なるモードの知の方法”でした。彼らからのフィードバックは洞察に満ち溢れており、観照的な芸術としての吟詠の可能性を再確認できた重要な出来事となりました。 During the week-long CMind Summer Institute, we enjoyed mindful and calm but exciting days, I demonstrated my Ginei performance singing waka(和歌), an old Japanese poem at Open Mic on the final day of the summer session. It was written and sang in Japanese, so I imagined that almost all my friends could not understand what I said linguistically. However, my CMind friends could experience my performance nonverbally, and "contemplate" it with their "direct" experience. Their understanding was based on "being mode," "an entirely different way of knowing from the thinking of doing mode” (Williams et al., p.46). It was irreducible to language and intellectual thinking. They gave me insightful feedback; it was a pivotal experience and confirmed for me Ginei's possibility as a contemplative practice. 저는 마음이 가득 차고 잔잔하지만 자극이 되는 나날을 보낸 후, 서머세션의 마지막 날에 자유 무대에서 일본 전통노래를 낭송했습니다. 물론 일본어로 된 노래여서 가사의 의미는 전달되지 않았습니다만 관조적 교육학 연구자들은 비언어적으로 저의 긴에이를 “직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긴에이를 “관조”하여 주었습니다. 그것은 언어로 환원되지 않는, 사고에 의하지 않는 “완전히 다른 방법에 의한 지식의 습득”이었습니다. 그들로부터 받았던 피드백은 통찰이 넘쳤으며, 관조적 예술로서의 긴에이의 가능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던 중대한 사건이었습니다.
そして、それはサマーセッションからちょうど一年が経とうとする頃でした。Devora先生から、自然環境の危機に直面することに伴う心の傷(environmental trauma)――マインドフルネス、レジリエンス、パフォーマティヴ・ジェスチャー――に関して、デジタルアートの可能性を探究する共同パフォーマンスのプロジェクトへのお誘いをいただいたのです。そこで、私の探究する観照的実践としての吟詠を通じて環境問題に伴う深い悲しみ(environmental grief)を癒すことについて本格的に考え始めたのです。 One year later, Dr. Devora invited me to this co-performance project that aims to explore “Environmental Trauma: Mindfulness, Resilience, and Performative Gestures.” I began to practically create a plan to go about healing the deep environmental grief by enacting Ginei as a contemplative practice, which I had been committing to consider it with the philosophy of Mu-shin(無心, wú xīn, no-mind) from mainly Japanese spiritual tradition. 그리고 서머세션으로부터 정확하게 1년이 지나려 할 때, Devora 선생님으로부터 “자연환경의 위기에 직면함에 따른 마음의 상처(environmental trauma) - Mindfulness, 회복력, Performative gesture”에 관한 디지털 아트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공동 퍼포먼스 프로젝트에 대한 권유를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탐구하는 관조적 실천으로서의 긴에이를 일본의 주된 영적 전통에서 나온 무심(무신, 無心, wú xīn, no-mind)의 철학을 가지고 확립함으로써 환경문제에 따른 깊은 슬픔(environmentalgrief)를 치유하려는 플랜을 본격적으로 짜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Devora先生との対話を通して、この悲しみはそれを経験している人間においてのみ生じるものではないことを確信するようになりました。失われた生命はもちろん、私が大地から悲しみの表現――地表における無数の小さな生命の死――を受け取ったと感じたように、母なる大地も悲しみを経験し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思うのです。この観照的なアートプロジェクトにおいて、私は自身の経験による悲しみやシコリだけでなく、失われた生命、そして母なる地球の悲しみへと自らの存在を開いて癒してゆく必要がありました。私の存在を明け渡し、すべての苦しみを慈しみのゆりかごのなかに抱きしめることが必要であると直観したのです。 Having some dialogues with Dr. Neumark, I began to understand that this grief does not only occur in the humans and myriad of lost small insects who experienced it, but also in Mother Earth. The feelings I got when I encountered the dead insects at the parking lot were the grief message from the earth, I believe. It is a phenomenon that occurred within my consciousness, but it is my phenomenological “truth.” In this contemplative art project, I needed to open my existence fully and heal not only my grief and "stiffness" from that experience in my heart, but also the lost beings and Mother Earth. It was necessary to surrender myself, my whole existence to something and to let go, then to embrace all suffering in a cradle of compassion. Devora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하여 이 슬픔은 그것을 경험하고 있는 인간에게 있어서만 생기는 것이 아님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사라진 생명체들은 물론이고 내가 대지로부터 슬픔의 표현-지표가 된 무수한 작은 생명체들의 죽음-을 받아들인 것과 같이 어머니인 대지도 슬픔을 체험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죽은 벌레를 맞닥뜨렸을 때 느낀 감정은 지구로부터의 슬픔의 메시지였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나의 의식 안에서 일어난 현상이지만 나의 현상적 “진실”입니다. 이 관조적인 아트 프로젝트에 있어 저는 저의 존재를 활짝 열고 저의 경험으로 인한 자신의 슬픔이나 응어리뿐 아니라 사라져 간 생명체들과 어머니 지구를 치유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나의 존재를 내어주고 모든 존재의 고통을 자애의 요람으로 끌어안는 것이 필요하다고 직관한 것입니다.
しかし、このことは今の私にとっては大変難しいことでした。なぜなら、自分を明け渡し、慈悲のゆりかごがそこに生じるためには、私の中の諸々の怒りを手放してゆくことが必要になるからです。大変お恥ずかしいことですが、人間として世間で生きている私はどうしても怒りのエネルギーを抱えてしまいます。そこでenvironmental griefに接近するためには、何より自分の諸々の怒りを手放すことに取り組まなければなりませんでした。つまりこのプロジェクトは、自分の怒り感情を回避することなく受けいれて向き合い、その上で私自身を癒すことから始め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のです。このプロセスにおいては心のバリアが緩んでゆき、そこであらわれてきたのは「むき出しになった寄る辺なさ」とでも言うべきものでした。自身の脱構築を繰り返しながら、日を追うごとに自我の枠組みが弛んでゆくことを感じながら、そこに新たな自己が誕生することを願って、できる限り忍耐強く観照的実践に取り組みました。 However, this was very difficult for me. To create space, cradle of compassion, I need to let go of anger in my mind. It is embarrassing, but I as a human being, “inevitably" have the energy emotion of anger. To approach to heal the environmental grief, I had to engage with letting go of my anger above all else. This project had to start by accepting and facing my feelings of anger without avoiding them, and then healing myself. In this process, the barrier of my heart was loosened; what appeared then was something that could be said to be "bare vulnerability." Engaging deconstruction of the "ego" again and again, I felt that the framework of the ego loosens with each passing day. I kept patience and contemplative practice as much as possible, hoping a new "self" would be born there. 그러나, 이러한 것은 지금의 나에게 있어 너무나 어려운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나 자신을 내주고 자애의 요람을 생겨나게 하기 위해서는 내 안의 모든 노여움을 풀어 주어야 하기 때문이었습니다. 대단히 부끄럽게도 인간으로서 속세에 살아가는 저로서는 불가피하게도 분노의 에너지를 받아들여버렸습니다만, Environmental grief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나의 모든 노여움을 해방시키지 않으면 안 되었습니다. 즉 이 프로젝트는, 나 자신의 노여움의 감정을 회피하지 않고 마주하여 나 자신을 치유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했던 것입니다. 이 프로세스에 있어 마음의 장애물이 점차 느슨해져 가고 거기서 씻겨져 드러난 것은 소위 “노출되어버린 취약함”이었습니다. 저는 자아의 해체를 반복하면서, 날이 갈수록 자아의 틀이 해체되어 감을 느꼈습니다. 새로운 자아의 탄생을 기원하면서 가능한 한 인내심을 굳히고 관조적 실천에 임하였습니다.
また吟詠のパフォーマンスを設計するにあたり、この怒りの手放しと並行して、吟ずる詩の選定をする必要がありました。様々な詩を調べましたが、今ひとつ納得できずに思案していたところ、私の書法の師匠でありヨーガ行者である木村迦葉先生が次の歌を紹介してくださいました。 To design the Ginei performance, I had to select the poems in parallel with the process of letting go. I researched various poems, but I could not find suitable one. My teacher of Japanese calligraphy, Kayou Kimura, who is also a yoga practitioner, told me this poem. 이 과정을 병행하는 동시에 긴에이 퍼포먼스를 맞이하여 읊을 시를 선정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이런 저런 시를 조사하였으나 적당한 것을 찾을 수가 없던 차에 서법의 스승이자 요가 수행자이신 기무라 카요우 선생님이 다음의 시를 소개하여 주셨습니다.
「君が行き 日長くなりぬ 山尋ね 迎へか行かむ 待ちにか待たむ」 “Kimi ga yuki, ke nagaku narinu, yama tazune, mukae ka yukan, machini ka matan”
(It's been a long time since you had gone. Should I visit the mountain to go to meet you, or still wait here?)
君が行き 日長くなりぬ 山尋ね 迎へか行かむ 待ちにか待たむ
(그대가 떠난 지 오랜 시간이 지났네. 그대를 만나기 위해 산으로 찾아가야 할까 여기서 기다려야 할까)
この歌は『万葉集』に収められた磐姫皇后の作とされた歌です。その解釈には諸説ありますが、一般には恋情における嫉妬の表現と解されることが多いようです。しかし民俗学の折口信夫先生の説によれば「山尋ね」は「魂乞い」に関係し、高山へと赴いた死者の魂を尋ねてゆくことであるといわれています。これについての学術的な諸議論はさておくこととして、この折口説に触れたとき、このプロジェクトの重要なピースが静かにはまったような感覚を私は覚えたのです。私はこの心の感覚を大切にすることにしました。そして、私が感じた“心の真実”と“情緒”に全てをあずけて、この歌を私の吟詠の詩とすることを決めたのです。 Generally, it is said that this poem was written by Iwanohime no Ōkisaki(磐姫皇后).This poem attributed to Iwanohime is collected in the "Man'yōshū(『万葉集』)", which is the oldest existing collection of Japanese poetry by Ōtomo no Yakamochi(大伴家持). In dominant interpretation, her four songs she expressed love and longing for her husband. However, some researchers show different explanations. According to Dr. Shinobu Orikuchi who was a famous Japanese ethnologist, the phrase "yama tazune"(「山尋ね」, yama(mountain) tazune(visiting)) is related to "Tama goi"(「魂乞い」, (tama(soul) goi(begging): To draw the soul of irreplaceable person to near my existence. This "Goi(Koi)" is related to "Koi"(「恋(love, miss) 」: I miss/love you. Accurately, it is said that both "koi" are different in its pronunciation. So, it could be interpreted as visiting the soul for the higher mountain. Aside from the academic discussions on this, I felt that finally I could find the last piece of the puzzle! I decided to cherish this intuition and choose it as my performance theme. This decision was obeying the spontaneous "truth of my heart" and "情緒(jyōcho: which is nuanced word that I cannot easily translate in English. The closest I might come would be something like an emotion or atmosphere. 일반적으로 이 시는 이와노히메 황후 (磐姫皇后) 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는 오토모노 야카모치 (大伴家持)가 편찬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일본 시집인 『만엽집(万葉集)』에 수록된 것입니다. 그녀의 네 곡의 노래는 그녀의 부군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 것으로 주로 해석됩니다만, 몇몇 조사가들은 다른 설명을 합니다. 일본의 저명한 민속학자인 시노부 오리쿠치 박사에 의하면 시의 내용인 “야마타즈네(山尋ね: 산을 찾다)”는 “타마고이 (魂乞い: 혼백을 청함)”로 연결된다고 합니다. 즉 대체불가능한 사람의 영혼을 내 곁으로 끌어들이는 것입니다. 이 “고이(乞い)”는 “코이 (恋: 사랑, 그리움)”와 연결되어 “그대를 그리워한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래서 더 높은 산으로 혼백을 찾아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학술적 연구는 차치하고서라도, 마침내 저는 퍼즐의 마지막 조각을 찾았다는 것을 직감했습니다! 저는 이 직감을 소중히 여겨 이 시로 제 퍼포먼스의 주제를 결정하였습니다. 이 결정은 저의 즉흥적인 “가슴의 진실”과 “정서”에 따른 것입니다.
パフォーマンス当日まで、私の心の天候は私の目指した寂静からは程遠いものでした。その頃、日本では台風9号と10号により大きな被害が出ましたが、私の心もちょうど台風のように激しく揺れ動き、「観照的に吟ずることができるのであろうか…」と不安をぬぐえませんでした。 Until the day of the performance, the weather in my mind was far from the tranquility I aimed at. At that time, powerful typhoons 9 and 10 caused heavy damages in Japan. It seemed as if it reflected my mind because I had so complex problems in my life. I sometimes lost mindfulness, and I was worried "Can I accomplish my work contemplatively?" 허나 퍼포먼스 당일까지 제 마음의 날씨는 제가 목표로 한 수준과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 때 일본에서는 제 마음을 반영하듯 태풍 9호와 10호로 인하여 크나큰 피해가 속출하였습니다. 저 역시 제 인생에서 복잡한 문제에 직면해 있었기 때문에 때로는 동요하였고 “관조적으로 긴에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는 불안감을 떨칠 수가 없었습니다.
しかし、当日着物に袖を通し、私が“environmental grief”を経験したまさにその場所に立ち、静かに手を合わせて祈りを捧げると、私の心の肌理は徐々にではありますが細やかになってゆき、吟じるごとに自然と慈悲が生じてくることに気づきました。初めは粗かった心も、数回吟じることで微細なエネルギーに変換されるようでした。ついに雑念は滅してゆき、ただ、失われた生命への贖いと弔い、私たち人間と母なる地球の癒し、そして一切の生きとし生けるものの安穏の成就を願う心が柔らかく広がってゆくことを感じられたのです。すべての祈りと吟詠を終える頃には、強くあらわれてくるのは“開発”への罪悪感ではなく、失われた生命を含む一切の生命の幸せを願う心、私の存在をこえ出てゆく淨けさでありました。 However, on the day of our performance, I wore the Japanese "Kimono" and stood at the very place where I experienced the “environmental grief” and quietly join my palms together and prayed. Then I felt changing texture of mind, from rough to subtle. I noticed that compassion naturally arose with in each intake of breath, and gradually enhanced my entire being. At first, the energy was rough but was converted into subtle as performance deepened. At last, the peaceful calmness appeared instead of distractive thoughts, and I was filled with pure redemption and mourning for lost all beings, healing for us all human beings and Mother earth, and wishes for peace and tranquility to all living beings. These energies were softly expanding from inward to outward. At the end of the praying and Ginei performance, what strongly manifested was not the guilty of the "development" but loving-kindness, compassion for all beings "existing" in any dimensions. The compassion and equanimity were beyond "I”, and “I" witnessed the process, phenomena. 그러나 당일 기모노를 입고 이전에 “Environmental grief”를 경험한 바로 그 자리에 서서 조용히 합장을 하고 기도를 바치니 마음의 결은 점차 섬세해져 가고 숨을 들이쉴 때마다 자비심이 스스로 일어나 내 존재를 강하게 만들어주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처음에는 거칠었던 마음도 퍼포먼스가 진행될수록 점차 미세한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 같았습니다. 드디어 잡념 대신에 평화로운 고요함이 주위를 감싸며, 저는 사라져 간 생명체에 대한 순수한 속죄와 애도, 우리 인간과 어머니 지구에 대한 치유, 일체의 살아가는 생명체들의 안온의 성취를 바라는 마음으로 가득 찼습니다. 모든 기도와 긴에이를 끝냈을 때, 강하게 나타난 것은 “개발”에의 죄책감이 아니라, 잃어버린 생명을 포함한 일체의 생명에 대한 애정어린 동정심이었고, 저는 저의 존재를 넘어선 동정심과 평정심을 똑똑히 목격했습니다.
パフォーマンスを終えて日常の生活に戻ってみますと、心の様子は時に以前のように粗くなっていることに気づきます。ちょうどこの文章を綴っている今、私の心を観察してみますと、あの日のパフォーマンスで感じた淨けさはもう消え去ってしまっています。代わりに粗い心の波や、心の奥で諸々の怒りの種が振動しつつあることにも気づきます。このように、パフォーマンスとその経験が私自身や母なる地球をドラマチックに変容したわけではありません。魔法のような奇跡を起こすこともありません。しかしながら確かにあの瞬間、私には癒しと救いがもたらされたのであり、きっと母なる地球も同じように安穏を感じてくれたのではないかと信じています。 After the contemplative performance, I returned to my daily life and found that my mind was far from subtle. Writing this essay, I observe my mind and I notice the feelings, compassion and equanimity that I had felt in that day, have already disappeared. Instead, I know the rough waves of mind and seeds of anger vibrating at the bottom my consciousness. Like this, the performance and compassionate experiences have not dramatically transformed myself or Mother Earth completely. It did not cause magical miracles to the world. However, at that moment during my performance, I realized and witnessed that healing and redemption were brought to me. Additionally, I believe that Mother Earth would have felt the same peace. 퍼포먼스를 끝내고 일상 생활로 돌아가보면, 마음의 양태는 때로 이전과 같이 거칠어지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마침 이 문장을 쓰고 있는 지금, 제 마음을 관찰해 보면 그 날 퍼포먼스를 하면서 느꼈던 동정심과 평정심은 이미 사라져 있습니다. 그 대신 거친 마음의 파도나 마음 안의 갖가지 분노의 씨앗이 진동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렇듯이 퍼포먼스와 자비로운 경험이 나나 어머니 지구를 드라마틱하게 변화시켰을 리가 없습니다. 마법과도 같은 기적을 일으키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지만 퍼포먼스의 순간, 저는 확실히 치유와 구원을 경험했으며 어머니 지구 역시 동일한 경험을 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おわりに、このプロジェクトに招待してくださったDevora Neumark先生に深く感謝し、彼女やCMindの仲間たちとの縁をもたらしてくれた私の研究、そしてその研究とCMindのサマーセッションへ導いてくださった瀬平劉アントン先生に心から感謝の祈りを捧げます。また、幼い頃から私を吟詠家へと育ててくださった吟の師匠である齊藤裕晃先生、会長である伊藤晃績先生にお礼申し上げます。この文章を韓国語に翻訳してくださった友人の한수연氏、中国語に翻訳してくださった同僚の馬秋豪氏、また映像編集に協力してくださったDESIGN COMMUNICATIONの豊嶋洋平氏に心よりお礼申し上げます。最後に、吟詠の修習を許して支えてくれている家族に感謝します。ありがとう。 In closing, I am deeply grateful to Dr. Devora Neumark for inviting me to this fascinating project. I appreciate my research led me to her and the summer session of CMind that connected me with Dr. Neumark and other friends. I would like to extend my heartfelt gratitude to my professor, Dr. Anton SEVILLA-LIU who led me to the summer session! I would also like to thank my Master, Yukou Saitou-sensei who raised me into an artist from my young age, and thank the Grand Master, Kouseki Itou-sensei. I would like to express my sincere gratitude to my friends Ms. Soo Yeon Han and Mr. Ma who translate this essay into several languages. Thanks to Mr. Yohei Toyoshima, DESIGN COMMUNICATION producer, who cooperated in the video editing. And I want to say "arigatou", thank my family supporting my contemplative journey... especially my mother. 마치며 이 멋진 프로젝트에 초대해 주신 Devora Neumark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분과 CMind의 서머세션 동료들과 이어준 나의 연구, 그리고 그 연구와 CMind의 서머세션으로 이끌어 주신 세빌라 류(瀬平劉) 안톤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바칩니다. 또한 어릴 때부터 저를 긴에이 예술가로 길러 주신 긴에이 스승님 사이토 유코(齋藤 裕晃) 선생님, 그리고 회장님이신 이토 코우세키(伊藤 晃績) 선생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이 글을 한국어로 번역해 준 친구 한수연 씨, 중국어로 번역해 준 동료 마추호 씨, 영상 편집에 협력해준 DESIGN COMMUNICATION의 토요시마 요헤이(豊嶋 洋平) 씨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나의 관조적 여행을 지지해준 가족들에게, 특히 어머니에게 고맙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このプロジェクトとパフォーマンス作品が諸々の善き因縁となりますように。
すべての生きとし生けるものは 健やかであり 危険がなく 心やすらかに 幸せであれかし!

本田陽彦(豊陽)
May this co-project and co-performance be good seeds for the great future in the world.
May all living beings be healthy, safe, peace and happy! I always pray for you!

Contemplative-ly yours,
Teruhiko Honda
본 프로젝트의 퍼포먼스 작품이 이 세상의 행복한 미래를 위한 씨앗이 되기를.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이 건강하고 안전하며 마음 편히 행복하기를.

혼다 테
루히코 (토요시마) 올림